Re: [Talk-ko] OSM에서의 중립적 시각에 대해

2019-09-06 Per discussione Jaeu Jeong
말씀하신 내용을 보면 지침에 자체에 대한 논의가 아니라, 독도나 녹둔도 등의 지명을 OSM의 규정에 따라서 어떻게 표기하는 것이 좋다는
내용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싶으신 것 같습니다.
OSM wiki에 있는 Ko:Map Features 문서에 그러한 내용을 작성하는건 어떨까요? 예전에 행정구역 경계에 대한 주의점응
여기에 추가했습니다.

2019년 9월 6일 (금) 13:07, Garam Gim 님이 작성:

> 어디서 관점이 다른가 했더니, 이를 분쟁의 관점으로 보고 계셨군요.
>
> 제가 이야기를 꺼냈던 건 분쟁이기 때문이 아니라 정확히는 언젠가는 논의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
> 가령, 우리는 현재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에 대한 논의를 하였으며 이에 대한 지침을 이미 가지고 있습니다.
>
> 이와 같이 국제적으로 분쟁지역이라 여겨지는 지명, 예를 들어, 대한민국이 실질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독도, 이어도나, 실질적으로
> 점유하지 못하고 있는 구 녹둔도나 백두산 천지 일대 등에 관한 명칭을 어떻게 표기할 것인지의 지침을 정하자는 것입니다.
>
> 즉, 제가 말하고 있는 내용은 기존의 규정을 정하는 논의들과 별반 차이가 없고, 그렇기 때문에 논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
> 2019년 9월 6일 (금) 오전 2:57, Changwoo Ryu via Talk-ko <
> talk-ko@openstreetmap.org>님이 작성:
>
>> 문서를 잘 알 수 있게 번역을 할 수는 있겠지요.
>>
>> 분쟁 처리 규정은 한국이나 한국어에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않고, 여기서 규정을 정할 권한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걸 정한다고
>> 해도 외국  사용자의 편집에 대해서 적용되기도 힘들고요.
>>
>> 2019년 9월 5일 (목) 오후 9:23, Garam Gim 님이 작성:
>> >
>> > 말씀하신 것처럼 OSM 내에는 이와 관련한 규정들이 있습니다.
>> >
>> > 여기서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한국 혹은 한국어 사용 지역에 대한 규정에 준하는 메뉴얼을 하나 만들었으면 한다는 점입니다.
>> >
>> > 물론 이러한 일이 발생할 때마다 다소 번거롭지만 중재를 하거나 할 수 있겠죠.
>> >
>> > 다만, 그러한 대처는 늘 다소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말씀드린 것이었습니다.
>> >
>> > 2019년 9월 5일 (목) 오전 12:48, Jaeu Jeong 님이 작성:
>> >>
>> >> 안녕하세요 Garam Gim님
>> >>
>> >> 명칭에 대한 편집 분쟁에 대해서는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Disputes 문서를
>>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 분쟁이 지속되면 Data Working Group에 메일로 연락하여 중재를 신청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
>> >> 2019년 9월 4일 (수) 오후 11:09, Garam Gim 님이 작성:
>> >>>
>> >>>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부분인데, 그렇다고 한다면 현재의 해당 사용자의 편집에 대해 어떠한 대응을 하여야 하고, 또 해당
>> 사용자에게 재발 방지를 위해 혹은 추후에 있을지 모르는 비슷한 편집을 하는 사용자들에게 어떻게 대처를 하여야 할까요?
>> >>>
>> >>> 2019년 9월 2일 (월) 오전 3:42, Changwoo Ryu 님이 작성:
>> >>>>
>> >>>> 과거에 "한글 (English)" 형식으로 이름을 쓰는 것을 바꾸는 과정에서 관련 얘기가 나왔었는데요. "name"은
>> 표지판,
>> >>>> 간판에 써 있는 것과 같은, 현지에서 사람들이 쓰는 이름입니다. 중립성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リアンクール岩礁/리앙쿠르
>> >>>> 암초"라고 쓴 게 설령 중립적이라고 쳐도.)
>> >>>>
>> >>>> 2019년 9월 1일 (일) 오후 10:14, Garam Gim 님이 작성:
>> >>>> >
>> >>>> > 안녕하세요.
>> >>>> >
>> >>>> > 포럼에 글을 올리려다 여기로 글을 남깁니다.
>> >>>> >
>> >>>> > https://www.openstreetmap.org/changeset/73755728
>> >>>> > https://www.openstreetmap.org/changeset/73754200
>> >>>> >
>> >>>> > 최근 위와 같은 흥미로운 기여를 보고 OSM에서의 중립적 시각이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을 해봤는데요.
>> >>>> >
>> >>>> > 우선, OSM은 위키백과와 같이 중립적 시각이라는 정책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근래에 OSM 포럼에서
>> 크림반도 건을 포함하여 국가간 분쟁 지역(!)에 대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 >>>> >
>> >>>> > 이와 관련하여 중립적이라는 이름 하에 위의 링크들과 같이 한국권 관련 지형지물에서 POV 편집이 강행되는 경우(가령,
>> https://www.openstreetmap.org/changeset/73755728 편집과 같이 타언어 명칭을 변경하는 것
>> 포함) 어떻게 해야 하는가 대한 메뉴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 >
>> >>>> > 다만, 이는 독도가 대한민국이 실효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령이다라고 주장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해당
>> 지형지물들의 대표명칭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에 대한 것인데요.
>> >>>> >
>> >>>> > 과거 중국-필리핀, 중국-일본 분쟁지역의 지명들의 상황을 본 적이 있는데 당시 ‘(언어1)/(언어2)’ 형식으로 적혀
>> 있었습니다. 이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한 국가의 실효지배가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그러한 표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겨지나 정확히
>> 관련하여 과거 논의가 있었는지는 확인하지 못하였습니다.
>> >>>> >
>> >>>> > 세계적으로도 여러 분쟁지역이 있고 그에 대한 표제어 표기 방식에 대한 방법이 다양하지 않을까 싶은데 이를 참고하여
>> 논의해보았으면 합니다.
>> >>>> >
>> >>>> > 감사합니다.
>> >>>> > ___
>> >>>> > Talk-ko mailing list
>> >>>> > Talk-ko@openstreetmap.org
>> >>>>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___
>> >>>> Talk-ko mailing list
>> >>>> Talk-ko@openstreetmap.org
>>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 >>> ___
>> >>> Talk-ko mailing list
>> >>> Talk-ko@openstreetmap.org
>>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 >> ___
>> >> Talk-ko mailing list
>> >> Talk-ko@openstreetmap.org
>>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 > ___
>> > Talk-ko mailing list
>> > Talk-ko@openstreetmap.org
>>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___
>> Talk-ko mailing list
>> Talk-ko@openstreetmap.org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___
> Talk-ko mailing list
> Talk-ko@openstreetmap.org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___
Talk-ko mailing list
Talk-ko@openstreetmap.org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Re: [Talk-ko] OSM에서의 중립적 시각에 대해

2019-09-04 Per discussione Jaeu Jeong
안녕하세요 Garam Gim님

명칭에 대한 편집 분쟁에 대해서는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Disputes 문서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분쟁이 지속되면 Data Working Group에 메일로 연락하여 중재를 신청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2019년 9월 4일 (수) 오후 11:09, Garam Gim 님이 작성:

>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부분인데, 그렇다고 한다면 현재의 해당 사용자의 편집에 대해 어떠한 대응을 하여야 하고, 또 해당 사용자에게 재발
> 방지를 위해 혹은 추후에 있을지 모르는 비슷한 편집을 하는 사용자들에게 어떻게 대처를 하여야 할까요?
>
> 2019년 9월 2일 (월) 오전 3:42, Changwoo Ryu 님이 작성:
>
>> 과거에 "한글 (English)" 형식으로 이름을 쓰는 것을 바꾸는 과정에서 관련 얘기가 나왔었는데요. "name"은 표지판,
>> 간판에 써 있는 것과 같은, 현지에서 사람들이 쓰는 이름입니다. 중립성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リアンクール岩礁/리앙쿠르
>> 암초"라고 쓴 게 설령 중립적이라고 쳐도.)
>>
>> 2019년 9월 1일 (일) 오후 10:14, Garam Gim 님이 작성:
>> >
>> > 안녕하세요.
>> >
>> > 포럼에 글을 올리려다 여기로 글을 남깁니다.
>> >
>> > https://www.openstreetmap.org/changeset/73755728
>> > https://www.openstreetmap.org/changeset/73754200
>> >
>> > 최근 위와 같은 흥미로운 기여를 보고 OSM에서의 중립적 시각이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을 해봤는데요.
>> >
>> > 우선, OSM은 위키백과와 같이 중립적 시각이라는 정책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근래에 OSM 포럼에서 크림반도
>> 건을 포함하여 국가간 분쟁 지역(!)에 대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 >
>> > 이와 관련하여 중립적이라는 이름 하에 위의 링크들과 같이 한국권 관련 지형지물에서 POV 편집이 강행되는 경우(가령,
>> https://www.openstreetmap.org/changeset/73755728 편집과 같이 타언어 명칭을 변경하는 것
>> 포함) 어떻게 해야 하는가 대한 메뉴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
>> > 다만, 이는 독도가 대한민국이 실효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령이다라고 주장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해당 지형지물들의
>> 대표명칭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에 대한 것인데요.
>> >
>> > 과거 중국-필리핀, 중국-일본 분쟁지역의 지명들의 상황을 본 적이 있는데 당시 ‘(언어1)/(언어2)’ 형식으로 적혀
>> 있었습니다. 이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한 국가의 실효지배가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그러한 표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겨지나 정확히
>> 관련하여 과거 논의가 있었는지는 확인하지 못하였습니다.
>> >
>> > 세계적으로도 여러 분쟁지역이 있고 그에 대한 표제어 표기 방식에 대한 방법이 다양하지 않을까 싶은데 이를 참고하여 논의해보았으면
>> 합니다.
>> >
>> > 감사합니다.
>> > ___
>> > Talk-ko mailing list
>> > Talk-ko@openstreetmap.org
>>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___
>> Talk-ko mailing list
>> Talk-ko@openstreetmap.org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___
> Talk-ko mailing list
> Talk-ko@openstreetmap.org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___
Talk-ko mailing list
Talk-ko@openstreetmap.org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Re: [Talk-ko] Problems to correct administrative boundary 'Dong' and 'Li' (동과 리의 행정경계를 수정하는 문제)

2019-09-01 Per discussione Jaeu Jeong
안녕하세요 Garam Gim님

행정동/리를 기준으로 행정구역 경계를 작성하기로 논의되었는데 어떤 이유에서 법정동/리 태깅을 함께 제안했는지 궁금하다는 말씀이신가요?

우선 첫 번째 이유로는 법정동/리에 관해 태깅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법정동/리 태그를
대안으로 제시한 것입니다. 영국의 경우 한국과 비슷한 상황이라 별도의 경계 태그를 사용하고 있는 것 같아서 참고했습니다.

그리고 두번째 이유는 이미 법정동 기준으로 태깅된 행정구역들이 일부 있는데, 전부 삭제하기 보다는 제시한 대안을 통해서 다른 사용자들이
기여한 데이터를 남겨두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리의 로마자 표기 피드백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GPIOIPG 드림

2019년 9월 1일 (일) 16:36, Garam Gim 님이 작성:

> 안녕하세요.
>
> 우선, 별 거는 아니긴 하나, 하나 짚고 가자면 행정구역 ‘리’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Ri’ 입니다.
>
> 예일 표기법에서 ‘Li’로 표기하긴 하나 이는 공적인 표기법이 아니니 넘어가도록 합시다.
>
> 본론으로 들어가서 행정동과 법정동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온라인 한국어 지도 사이트들에서도 구분하고 있지 않는 부분이라고 생각이
> 되는데 이를 굳이 분리하여 기술하여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 대한민국 정부에서 제공하는 지도 사이트들에서는 일부 구분하는 것이 확인되지만 그렇게까지 세세하게 구분해줄 필요가 있는지는 잘
> 모르겠습니다.
>
>
> 2019년 5월 21일 (화) 오전 12:45, Jaeu Jeong 님이 작성:
>
>> [English]
>>
>> Hi
>>
>> You know that South Korea has unique administrative unit 'Dong' and 'Li'.
>>
>> There are two type of Dong and Li. One is administrative Dong and Li
>> (행정동, 행정리) and other is legal-state Dong and Li. (법정동, 법정리)
>>
>> Administrative Dong and Li are used as administrative service area of
>> Local Autonomous Entity.
>>
>> And Legal-status Dong is used for address system and trading land.
>>
>> Boundary of these two type of Dong and Li is differ each other.
>>
>> Problem is that these two of type is SAME ADMINISTRATIVE LEVEL.
>>
>> So boundary of Dong and Li is conflicted.
>>
>>
>> I questioned about this problem to OpenStreetMap forum(link
>>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6268>) and get a
>> solutions.
>>
>> Don't use boundary=administrative for both: reserve that for the actual
>>> administrative entity. For the other one use a different boundary=* tag.
>>> (SK53 wrote)
>>>
>>
>> I think it's more proper and reasonable than previous discussion.
>>
>> < Previous Discussion (Korean) >
>>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911)
>>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892)
>>
>> I want to use boundary=administrative tag only for administrative Dong
>> and Li . Because It's units for actual administrative purpose.
>>
>> And I want to make new boundary tag for legal-state Dong and Li. They
>> only used for legal works, So How about using boundary=legal tag?
>>
>> If this solution is fine to other contributors, I'll modify
>> administrative boundary.
>>
>> Best regards
>>
>> GPIOIPG
>>
>>
>> [Korean]
>>
>> 안녕하세요,
>>
>> 아시다시피 동과 리는 한국의 독특한 행정구역입니다.
>>
>> 동과 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 하나는 행정동과 행정리, 그리고 다른 하나는 법정동과 법정리입니다.
>>
>> 행정동과 행정리는 지자체의 행정적인 서비스 영역으로 사용됩니다.
>>
>> 그리고 법정동과 법정리는 주소체계 및 토지거래 용도로 사용됩니다.
>>
>> 이 두 종류의 동과 리는 서로 경계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
>> 문제는 *이 두 종류(법정-/행정-)가 동일한 행정구역 계층이라는 점*입니다.
>>
>> 그래서 *동과 리의 경계 데이터에 충돌*이 발생합니다.
>>
>>
>> 그래서 OSM 포럼에 질문을 올렸고, 해결 방안을 받았습니다.
>>
>> 두 종류에 boundary=administrative 태그를 사용하면 안됩니다: boundary=administrative는 실제
>>> 행정 구역 용도로 제한합니다.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다른 boundary=* 태그를 사용합니다. (SK53 작성)
>>
>>
>> 제 생각에는 이 방안이 이전에 논의되었던 것보다 적절하고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 < 기존 논의 >
>>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911)
>>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892)
>>
>> 행정동과 행정리는 실제 행정 목적으로 만든 구역이므로, boundary=administrative를 사용하고,
>>
>> 법정동과 법정리는 법적인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별도의 boundary 태그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싶습니다. boundary=legal
>> 태그와 같은 건 어떨까요?
>>
>> 만약 다른 분들께서도 이 방안이 괜찮다고 생각하시면, 행정 경계를 수정하려고 합니다.
>>
>> Best regards
>>
>> GPIOIPG
>>
>>
>> ___
>> Talk-ko mailing list
>> Talk-ko@openstreetmap.org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___
> Talk-ko mailing list
> Talk-ko@openstreetmap.org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___
Talk-ko mailing list
Talk-ko@openstreetmap.org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Talk-ko] Problems to correct administrative boundary 'Dong' and 'Li' (동과 리의 행정경계를 수정하는 문제)

2019-05-20 Per discussione Jaeu Jeong
[English]

Hi

You know that South Korea has unique administrative unit 'Dong' and 'Li'.

There are two type of Dong and Li. One is administrative Dong and Li (행정동,
행정리) and other is legal-state Dong and Li. (법정동, 법정리)

Administrative Dong and Li are used as administrative service area of Local
Autonomous Entity.

And Legal-status Dong is used for address system and trading land.

Boundary of these two type of Dong and Li is differ each other.

Problem is that these two of type is SAME ADMINISTRATIVE LEVEL.

So boundary of Dong and Li is conflicted.


I questioned about this problem to OpenStreetMap forum(link
) and get a
solutions.

Don't use boundary=administrative for both: reserve that for the actual
> administrative entity. For the other one use a different boundary=* tag.
> (SK53 wrote)
>

I think it's more proper and reasonable than previous discussion.

< Previous Discussion (Korean) >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911)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892)

I want to use boundary=administrative tag only for administrative Dong and
Li . Because It's units for actual administrative purpose.

And I want to make new boundary tag for legal-state Dong and Li. They only
used for legal works, So How about using boundary=legal tag?

If this solution is fine to other contributors, I'll modify administrative
boundary.

Best regards

GPIOIPG


[Korean]

안녕하세요,

아시다시피 동과 리는 한국의 독특한 행정구역입니다.

동과 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행정동과 행정리, 그리고 다른 하나는 법정동과 법정리입니다.

행정동과 행정리는 지자체의 행정적인 서비스 영역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법정동과 법정리는 주소체계 및 토지거래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 두 종류의 동과 리는 서로 경계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이 두 종류(법정-/행정-)가 동일한 행정구역 계층이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동과 리의 경계 데이터에 충돌*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OSM 포럼에 질문을 올렸고, 해결 방안을 받았습니다.

두 종류에 boundary=administrative 태그를 사용하면 안됩니다: boundary=administrative는 실제 행정
> 구역 용도로 제한합니다.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다른 boundary=* 태그를 사용합니다. (SK53 작성)


제 생각에는 이 방안이 이전에 논의되었던 것보다 적절하고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기존 논의 >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911)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892)

행정동과 행정리는 실제 행정 목적으로 만든 구역이므로, boundary=administrative를 사용하고,

법정동과 법정리는 법적인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별도의 boundary 태그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싶습니다. boundary=legal
태그와 같은 건 어떨까요?

만약 다른 분들께서도 이 방안이 괜찮다고 생각하시면, 행정 경계를 수정하려고 합니다.

Best regards

GPIOIPG
___
Talk-ko mailing list
Talk-ko@openstreetmap.org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Re: [Talk-ko] 오픈스트리트맵의 place 태그에 관해서 / place tags in OpenStreetMap for Korea

2019-01-04 Per discussione Jaeu Jeong
안녕하세요 Garam님

앞서 메일로 자치구가 아닌 구는 읍면을 관할하기도 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도농복합시에서 이런 형태가 많이 나옵니다.

자치구가 아닌 구와 읍면동이 같은 admin_level인 점이 우려되는 이유는

예를 들어서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이라고 하면,

자치구가 아닌 구인 서북구는 place=town, admin_level=8로 태그되고,

서북구에 속해있는 성환읍도 place=town, admin_level=8이 됩니다.

관할구역만 보면 서북구가 성환읍을 포함한 읍면동을 포함하는데 둘 다 동일한 admin_level로 태깅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위키백과 - 천안시의 행정구역
<https://ko.wikipedia.org/wiki/%EC%B2%9C%EC%95%88%EC%8B%9C%EC%9D%98_%ED%96%89%EC%A0%95_%EA%B5%AC%EC%97%AD>
)

문제가 없다면 그대로 유지해도 좋습니다.


자치시는 기초자치단체로 분류되고 도에 속해있는 자치권이 있는 시, 행정시는 자치권이 없는 시입니다.

보통 자치시라고 안하고 시라고 합니다. 행정시와 구분하려고 자치시라 부르는 것 같습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일반적인 도에 속해있는 시와는 다르게 자치권이 없습니다

그래서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기초자치단체가 아닙니다.

2019년 1월 4일 (금) 오후 9:52, Garam Gim 님이 작성:

> [image: image.png]
>
> 이런 느낌이면 될까요?
>
> 자치시는 지방지치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용어라 정확히 무엇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
> admin_centre는 admin_level과는 별도로
>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Relation:boundary#Relation_members 의
> 내용을 따르는 것이므로 행정구역 단위와는 별개라고 보여집니다.
>
> 2019년 1월 2일 (수) 오후 2:49, Jaeu Jeong 님이 작성:
>
>> 동·리는 제가 잘못 파악했습니다. 읍·면·동이 같은 급인데 헷갈렸습니다.
>>
>> 자치권의 범위를 파악하는 일이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같은 자치단체급이나 행정구역급이라고 해도 다양한 특례와 법률에 따라
>> 위임사무와 자치사무의 범위가 달라지니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고민이 필요해보입니다.
>>
>> 자치구가 아닌 구는 읍면을 관할하기도 해서(천안시 동남구 및 서북구), admin_level 및 place 태그 값이 변경하는 것이
>> 좋습니다.
>>
>> 또한 자치구과 자치구가 아닌 구를 구분하는 것처럼,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치권이 없는 시는 자치시 구분되는 것이 좋습니다.
>>
>> 그리고 일본을 보니 도쿄도의 boundary=administrative 관계에서 label 멤버인 노드는 place=province
>> 값을 사용하고, admin_centre 멤버인 노드는 place=city 값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링크
>> <https://www.openstreetmap.org/relation/1543125>) 광역자치단체에서 특별시, 광역시,
>> 특별자치시의 경우 이름에 "-시"가 들어가고 의미상 도에서 분리된 독립시이므로 일본의 예를 따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2019년 1월 2일 (수) 01:21에 Garam Gim 님이 작성:
>>
>>> 위키 내 날짜와 시간은 사용자가 사용중인 환경에 따라 다르게 보이므로 1765395판
>>> <https://wiki.openstreetmap.org/w/index.php?title=Korea_tagging=1765395>을
>>>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
>>> 광역자치단체는 대한민국 지방자치법에 따라 한 가지로 보기 때문에, 또한 마땅한 여분의 키값이 없고 다른 나라의 경우에도 한 가지로
>>> 통일하고 있기 때문에 province로 값을 부여한 것입니다.
>>>
>>> 시·자치구·군은 같은 급이긴 하나 동법 제2조 제2항을 보면 자치권의 범위가 다소 다를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 구분하고자 각기 city와 district로 구분하였습니다. 그리고 혹여 차후에 국가적으로 자치권의 범위가 바뀌는 경우가 있다면 이를
>>> 변경함에 있어 다소 번거러움을 덜 목적이기도 합니다.
>>>
>>> neighbourhood에 해당하는 동의 경우에는 광역지방자치단체, 즉 자치구의 동이므로 village에 해당하는 일반 리와는
>>> 같을 수 없으며, town과 같은 급입니다. 다소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은데,  말씀하시는 부분이 동법 제4조의2에 대한 부분에
>>> 해당한다면 village에 포함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 그 경우에도 왜 동을 town과 별개로 두었는가 하는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앞서 말씀드린 상위 행정 구역 상에서
>>> 자치권의 범위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따른 것도 있고, 동법 제3조 제4항과 Tag:place=town
>>>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Tag:place%3Dtown> 및
>>> Tag:place=neighbourhood
>>>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Tag:place%3Dneighbourhood>에 명시된
>>> 내용을 참고하여 도심지와 비도심지를 나누고자 한 것이기도 합니다.
>>>
>>>
>>> 2019년 1월 1일 (화) 오후 10:34, Jaeu Jeong 님이 작성:
>>>
>>>> Garam님이 작성한 위키 페이지(https://wiki.openstreetmap.org/wiki/Korea_tagging)를
>>>> 보니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
>>>> 작성된 내용(1월 1일 오후 8시 기준)에 따르면 지자체의 급에 따라 place를 분류된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광역자치단체(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는 province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반면 (자치)시,
>>>> 군과 자치구는 같은 급인데, (자치)시, 군은 city, 자치구는 district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 리는 같은 급인데
>>>> neighbourhood와 village로 각각 분류되어 있습니다.
>>>>
>>>> 이렇게 분류된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 그리고 OSM 위키에 참고자료로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지방자치법, 세종특별자치시 특별법, 제주특별자치시 특별법을 바탕으로
>>>> 행정구역 분류도를 그려보았습니다. 첨부하여 드립니다. 피드백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image: 행정구역 분류.png]
>>>>
>>>>
>>>> 2018년 12월 30일 (일) 오전 7:06, Garam Gim 님이 작성:
>>>>
>>>>> 아, 제 발언은 전적으로 행정구역을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었습니다.
>>>>>
>>>>> 현재 place을 어떻게 각기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초안을 생성해보았습니다.
>>>>>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Korea_tagging
>>>>>
>>>>> 여기 및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pid=731450 그리고 다른
>>>>> 경로 등을 두루 참고하였으나 아직 초안이므로 수준(level) 등이 다소 변경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의견이 있으시다면
>>>>>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2018년 12월 30일 (일) 오전 12:47, Jaeu Jeong 님이 작성:
>>>>>
>>>>>>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행정구역을 의미상 번역하지 않고 공식적으로는 로마자 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do, -si, -gu,
>>>>>> -gun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 OSM의 태그 값은 영국식 영어를 따르는 것 같아서(대표적으로 색상 태그를
>>>>>> colour라고 사용하는데 미국식 영어는 color입니다.) 되도록 로마자 표기 대신 영어에서 비슷한 의미를 찾아 사용하는 것이 
>>>>>> 좋다고
>>>>>> 생각합니다. 하지만 영어로 1:1 번역이 어려운 경우 Garam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로마자 표기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Re: [Talk-ko] 오픈스트리트맵의 place 태그에 관해서 / place tags in OpenStreetMap for Korea

2019-01-01 Per discussione Jaeu Jeong
동·리는 제가 잘못 파악했습니다. 읍·면·동이 같은 급인데 헷갈렸습니다.

자치권의 범위를 파악하는 일이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같은 자치단체급이나 행정구역급이라고 해도 다양한 특례와 법률에 따라 위임사무와
자치사무의 범위가 달라지니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고민이 필요해보입니다.

자치구가 아닌 구는 읍면을 관할하기도 해서(천안시 동남구 및 서북구), admin_level 및 place 태그 값이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치구과 자치구가 아닌 구를 구분하는 것처럼,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치권이 없는 시는 자치시 구분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일본을 보니 도쿄도의 boundary=administrative 관계에서 label 멤버인 노드는 place=province
값을 사용하고, admin_centre 멤버인 노드는 place=city 값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링크
<https://www.openstreetmap.org/relation/1543125>) 광역자치단체에서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의
경우 이름에 "-시"가 들어가고 의미상 도에서 분리된 독립시이므로 일본의 예를 따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19년 1월 2일 (수) 01:21에 Garam Gim 님이 작성:

> 위키 내 날짜와 시간은 사용자가 사용중인 환경에 따라 다르게 보이므로 1765395판
> <https://wiki.openstreetmap.org/w/index.php?title=Korea_tagging=1765395>을
>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
> 광역자치단체는 대한민국 지방자치법에 따라 한 가지로 보기 때문에, 또한 마땅한 여분의 키값이 없고 다른 나라의 경우에도 한 가지로
> 통일하고 있기 때문에 province로 값을 부여한 것입니다.
>
> 시·자치구·군은 같은 급이긴 하나 동법 제2조 제2항을 보면 자치권의 범위가 다소 다를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구분하고자
> 각기 city와 district로 구분하였습니다. 그리고 혹여 차후에 국가적으로 자치권의 범위가 바뀌는 경우가 있다면 이를 변경함에
> 있어 다소 번거러움을 덜 목적이기도 합니다.
>
> neighbourhood에 해당하는 동의 경우에는 광역지방자치단체, 즉 자치구의 동이므로 village에 해당하는 일반 리와는 같을
> 수 없으며, town과 같은 급입니다. 다소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은데,  말씀하시는 부분이 동법 제4조의2에 대한 부분에
> 해당한다면 village에 포함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 그 경우에도 왜 동을 town과 별개로 두었는가 하는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앞서 말씀드린 상위 행정 구역 상에서
> 자치권의 범위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따른 것도 있고, 동법 제3조 제4항과 Tag:place=town
>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Tag:place%3Dtown> 및
> Tag:place=neighbourhood
>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Tag:place%3Dneighbourhood>에 명시된 내용을
> 참고하여 도심지와 비도심지를 나누고자 한 것이기도 합니다.
>
>
> 2019년 1월 1일 (화) 오후 10:34, Jaeu Jeong 님이 작성:
>
>> Garam님이 작성한 위키 페이지(https://wiki.openstreetmap.org/wiki/Korea_tagging)를
>> 보니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
>> 작성된 내용(1월 1일 오후 8시 기준)에 따르면 지자체의 급에 따라 place를 분류된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광역자치단체(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는 province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반면 (자치)시,
>> 군과 자치구는 같은 급인데, (자치)시, 군은 city, 자치구는 district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 리는 같은 급인데
>> neighbourhood와 village로 각각 분류되어 있습니다.
>>
>> 이렇게 분류된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 그리고 OSM 위키에 참고자료로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지방자치법, 세종특별자치시 특별법, 제주특별자치시 특별법을 바탕으로 행정구역
>> 분류도를 그려보았습니다. 첨부하여 드립니다. 피드백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image: 행정구역 분류.png]
>>
>>
>> 2018년 12월 30일 (일) 오전 7:06, Garam Gim 님이 작성:
>>
>>> 아, 제 발언은 전적으로 행정구역을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었습니다.
>>>
>>> 현재 place을 어떻게 각기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초안을 생성해보았습니다.
>>>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Korea_tagging
>>>
>>> 여기 및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pid=731450 그리고 다른 경로
>>> 등을 두루 참고하였으나 아직 초안이므로 수준(level) 등이 다소 변경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의견이 있으시다면 말씀해주시면
>>> 감사하겠습니다.
>>>
>>> 2018년 12월 30일 (일) 오전 12:47, Jaeu Jeong 님이 작성:
>>>
>>>>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행정구역을 의미상 번역하지 않고 공식적으로는 로마자 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do, -si, -gu,
>>>> -gun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 OSM의 태그 값은 영국식 영어를 따르는 것 같아서(대표적으로 색상 태그를
>>>> colour라고 사용하는데 미국식 영어는 color입니다.) 되도록 로마자 표기 대신 영어에서 비슷한 의미를 찾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 생각합니다. 하지만 영어로 1:1 번역이 어려운 경우 Garam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로마자 표기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혹시라도 로마자 표기에 따라 태그 값을 사용하게 된다면 place=do, place=si, place=gu, place=gun과
>>>> 같이 태그 값이 적용되는 건가요?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새로운 태그값이라 만약에 사용하려고 한다면 OSM 위키에 place=do
>>>> / si / gun / gu 태그 값을 제안해야 할 것 같습니다.
>>>>
>>>> 2018년 12월 29일 (토) 오후 8:21, Garam Gim 님이 작성:
>>>>
>>>>> 각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거진 -do, -si, -gu, -gun 등으로 쓰고 있음이 확인됩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 실제 표기를 따르는 것이 맞지 않을까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 2018년 12월 29일 (토) 오전 2:36, Jaeu Jeong 님이 작성:
>>>>>
>>>>>> 한국의 지명과 place 태그 값을 어떻게 매칭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 있으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어떻게
>>>>>> 행정구역을 번역하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
>>>>>> 한국법제연구원에서 영어로 번역한 지방자치법[1]에서는 다음과 같이 행정구역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도, 시, 군, 구, 읍,
>>>>>> 면, 동, 리는 사실상 번역이 아닌 로마자 표기법입니다.
>>>>>>  - 특별시 : Special City
>>>>>>  - 광역시 : Metropolitan City
>>>>>>  - 특별자치시 :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  - 도 : Do
>>>>>>  - 특별자치도 :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자치구 : Autonomous Gu (Gu로 통칭)
>>>>>>  - 시 / 군 / 구 : Si / Gun / Gu
>>>>>>  - 읍 / 면 / 동 : Eup / Myeon / Dong
>>>>>>  - 리 : Ri
>>>>>>
>>>>>> 정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에서 운영하는 www.korea.net[2]에서는 도, 시, 군, 구를 한국법제연구원과는 다르게
>>>>>> 번역했습니다.
>>>>>>  - 도 : Province
>>>>>>  - 시 : City
>>>>>>  - 군 : County
>>>>>>  - 구 : District
>>>>&

Re: [Talk-ko] 오픈스트리트맵의 place 태그에 관해서 / place tags in OpenStreetMap for Korea

2018-12-29 Per discussione Jaeu Jeong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행정구역을 의미상 번역하지 않고 공식적으로는 로마자 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do, -si, -gu, -gun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 OSM의 태그 값은 영국식 영어를 따르는 것 같아서(대표적으로 색상 태그를
colour라고 사용하는데 미국식 영어는 color입니다.) 되도록 로마자 표기 대신 영어에서 비슷한 의미를 찾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영어로 1:1 번역이 어려운 경우 Garam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로마자 표기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로마자 표기에 따라 태그 값을 사용하게 된다면 place=do, place=si, place=gu, place=gun과 같이
태그 값이 적용되는 건가요?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새로운 태그값이라 만약에 사용하려고 한다면 OSM 위키에 place=do /
si / gun / gu 태그 값을 제안해야 할 것 같습니다.

2018년 12월 29일 (토) 오후 8:21, Garam Gim 님이 작성:

> 각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거진 -do, -si, -gu, -gun 등으로 쓰고 있음이 확인됩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실제
> 표기를 따르는 것이 맞지 않을까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 2018년 12월 29일 (토) 오전 2:36, Jaeu Jeong 님이 작성:
>
>> 한국의 지명과 place 태그 값을 어떻게 매칭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 있으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어떻게
>> 행정구역을 번역하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
>> 한국법제연구원에서 영어로 번역한 지방자치법[1]에서는 다음과 같이 행정구역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도, 시, 군, 구, 읍, 면,
>> 동, 리는 사실상 번역이 아닌 로마자 표기법입니다.
>>  - 특별시 : Special City
>>  - 광역시 : Metropolitan City
>>  - 특별자치시 :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  - 도 : Do
>>  - 특별자치도 :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자치구 : Autonomous Gu (Gu로 통칭)
>>  - 시 / 군 / 구 : Si / Gun / Gu
>>  - 읍 / 면 / 동 : Eup / Myeon / Dong
>>  - 리 : Ri
>>
>> 정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에서 운영하는 www.korea.net[2]에서는 도, 시, 군, 구를 한국법제연구원과는 다르게
>> 번역했습니다.
>>  - 도 : Province
>>  - 시 : City
>>  - 군 : County
>>  - 구 : District
>>  - 시군구보다 높은 계층은 지방자치법 영문 법령과 동일, 시군구보다 낮은 계층은 언급 없음.
>>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지명의 국제표준지침서[3]는 법령과 거의 동일하나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  - 특별자치시 : Special Self-governing City
>>
>> 즉, 특별자치시, 도, 시, 군, 구 행정구역 단위에 대한 공식적인 영어 번역 명칭은 통일되어 있지 않습니다. 도, 시, 군, 구에
>> 대해서는 정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을 따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자치시, 행정시는 모두 지명으로서 시(City)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별시, 광역시,
>> 특별자치시는 광역자치단체로서, 도에서 분리된 시입니다. 자치시는 도의 하위 행정구역이자 기초자치단체입니다. 행정시는 특별자치도에서만
>> 사용되는 자치권이 없는 시입니다.
>>
>> 자치구와 (행정)구는 지명으로서 구(District)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치구는 특별시 및 광역시 소속
>> 기초자치단체입니다. 행정구는 도 산하 기초자치단체인 시에 소속된 하위 행정구역입니다.
>>
>> 읍, 면, 리는 인구와 개발 정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place=town 태그로 맞춰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건
>> 아무리 조사해도 답이 안나옵니다.
>> (e.g. 퇴계원면 퇴계원리는 낮은 수준의 행정구역 단위지만 인구는 3만명이 넘습니다.)
>>
>> 이걸 조사하면서 대체로 place 태그가 행정구역 경계 관계의 멤버로 사용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place 태그가 행정구역을
>> 표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
>>
>> I'm investigating how to match between place of South Korea and place tag
>> value of OSM, but It's too difficult. I searched how government of South
>> Korea translate administrative unit to English.
>>
>> KLRI(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translated LOCAL AUTONOMY
>> ACT[1], which is law of South Korea included with administrative unit like
>> below list.
>> Actually, some translated administrative units are just romanization of
>> Korean. (e.g. Do, Si, Gun, Gu, Eup, Myeon, Dong, Ri)
>>
>>  - 특별시 : Special City
>>  - 광역시 : Metropolitan City
>>  - 특별자치시 :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  - 도 : Do
>>  - 특별자치도 :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자치구 : Autonomous Gu (Gu로 통칭)
>>  - 시 / 군 / 구 : Si / Gun / Gu
>>  - 읍 / 면 / 동 : Eup / Myeon / Dong
>>  - 리 : Ri
>>
>> KOCIS(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translated Do, Si, Gun, Gu
>> like below list.[2] These 4 administrative unit is differ to KLRI's
>> translation.
>>  - 도 : Province
>>  - 시 : City
>>  - 군 : County
>>  - 구 : District
>>  - Upper administrative unit of Si, Gun and Gu are same to KLRI's
>> translation. There are no explanation of lower administration unit of Si,
>> Gun, Gu.
>>
>> *Toponymic Guidelines for Map and Other Editors For International Use
>> Republic of Korea*[3], published by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 Institute) of South Korea, shows almost same of KLRI's translation. But
>> some translated administrative unit is differ to KLRI's translation.
>>  - 특별자치시 : Special Self-governing City
>>
>> So, Any unified official translation about 특별자치시, 도, 시, 군, and 구 aren't
>> exist. some administrative units are just romanized. I think it's better to
>> fallow KOSIS's translation about 도, 시, 군, 구.
>>
>> I think that we can classify 특별시(special city), 광역시(metropolitan city),
>> 특별자치시(special self-governing city), 자치시(autonomous city) and
>> 행정시(administrative city) to "City" as a place. Special city, metropolitan
>> city, and special self-governing city are metropolitan self-governing
>> entity. These administrative units are city separated from 도(province).
>> Autonomous city is basic self-governing entity. This administrative unit is
>> city which belongs to 도(province). Administrative city is belongs to
>&

Re: [Talk-ko] 오픈스트리트맵의 place 태그에 관해서 / place tags in OpenStreetMap for Korea

2018-12-28 Per discussione Jaeu Jeong
한국의 지명과 place 태그 값을 어떻게 매칭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 있으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어떻게 행정구역을
번역하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한국법제연구원에서 영어로 번역한 지방자치법[1]에서는 다음과 같이 행정구역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도, 시, 군, 구, 읍, 면, 동,
리는 사실상 번역이 아닌 로마자 표기법입니다.
 - 특별시 : Special City
 - 광역시 : Metropolitan City
 - 특별자치시 :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 도 : Do
 - 특별자치도 :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자치구 : Autonomous Gu (Gu로 통칭)
 - 시 / 군 / 구 : Si / Gun / Gu
 - 읍 / 면 / 동 : Eup / Myeon / Dong
 - 리 : Ri

정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에서 운영하는 www.korea.net[2]에서는 도, 시, 군, 구를 한국법제연구원과는 다르게 번역했습니다.
 - 도 : Province
 - 시 : City
 - 군 : County
 - 구 : District
 - 시군구보다 높은 계층은 지방자치법 영문 법령과 동일, 시군구보다 낮은 계층은 언급 없음.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지명의 국제표준지침서[3]는 법령과 거의 동일하나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 특별자치시 : Special Self-governing City

즉, 특별자치시, 도, 시, 군, 구 행정구역 단위에 대한 공식적인 영어 번역 명칭은 통일되어 있지 않습니다. 도, 시, 군, 구에
대해서는 정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을 따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자치시, 행정시는 모두 지명으로서 시(City)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는 광역자치단체로서, 도에서 분리된 시입니다. 자치시는 도의 하위 행정구역이자 기초자치단체입니다. 행정시는 특별자치도에서만
사용되는 자치권이 없는 시입니다.

자치구와 (행정)구는 지명으로서 구(District)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치구는 특별시 및 광역시 소속
기초자치단체입니다. 행정구는 도 산하 기초자치단체인 시에 소속된 하위 행정구역입니다.

읍, 면, 리는 인구와 개발 정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place=town 태그로 맞춰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건 아무리
조사해도 답이 안나옵니다.
(e.g. 퇴계원면 퇴계원리는 낮은 수준의 행정구역 단위지만 인구는 3만명이 넘습니다.)

이걸 조사하면서 대체로 place 태그가 행정구역 경계 관계의 멤버로 사용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place 태그가 행정구역을
표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I'm investigating how to match between place of South Korea and place tag
value of OSM, but It's too difficult. I searched how government of South
Korea translate administrative unit to English.

KLRI(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translated LOCAL AUTONOMY
ACT[1], which is law of South Korea included with administrative unit like
below list.
Actually, some translated administrative units are just romanization of
Korean. (e.g. Do, Si, Gun, Gu, Eup, Myeon, Dong, Ri)

 - 특별시 : Special City
 - 광역시 : Metropolitan City
 - 특별자치시 :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 도 : Do
 - 특별자치도 :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자치구 : Autonomous Gu (Gu로 통칭)
 - 시 / 군 / 구 : Si / Gun / Gu
 - 읍 / 면 / 동 : Eup / Myeon / Dong
 - 리 : Ri

KOCIS(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translated Do, Si, Gun, Gu
like below list.[2] These 4 administrative unit is differ to KLRI's
translation.
 - 도 : Province
 - 시 : City
 - 군 : County
 - 구 : District
 - Upper administrative unit of Si, Gun and Gu are same to KLRI's
translation. There are no explanation of lower administration unit of Si,
Gun, Gu.

*Toponymic Guidelines for Map and Other Editors For International Use
Republic of Korea*[3], published by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of South Korea, shows almost same of KLRI's translation. But
some translated administrative unit is differ to KLRI's translation.
 - 특별자치시 : Special Self-governing City

So, Any unified official translation about 특별자치시, 도, 시, 군, and 구 aren't
exist. some administrative units are just romanized. I think it's better to
fallow KOSIS's translation about 도, 시, 군, 구.

I think that we can classify 특별시(special city), 광역시(metropolitan city),
특별자치시(special self-governing city), 자치시(autonomous city) and
행정시(administrative city) to "City" as a place. Special city, metropolitan
city, and special self-governing city are metropolitan self-governing
entity. These administrative units are city separated from 도(province).
Autonomous city is basic self-governing entity. This administrative unit is
city which belongs to 도(province). Administrative city is belongs to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is administrative unit is city which
hasn't any autonomous power.

And also I think that we can classify 자치구(Autonomous gu) and (행정)구(gu or
administrative gu) to "District" as a place. Autonomous gu belongs to
special city or metropolitan city which are metropolitan self-governing
entity. Gu, also called administrative gu for distinction of autonomous gu,
is belongs to city which is basic self-governing entity and belongs to
도(province).

Maybe we can match 읍(eup), 면(myeon), and 리(ri) to place=town tag, because
they have various population and development each other. I can't make
conclusion about this unit.
(e.g. Population of toegyewon-ri, toegyewon-myeon is over 30,000 although
ri is very lower administrative unit)

I realize that almost of the tag "place" is used for member of
administrative border relation in OpenStreetMap. Is place tag for showing
name of administrative region in OSM?

P.S. Please understand my poor English. But I try hard to communicate with
non-Korean speaker.

● 참고자료 / Reference
[1] 지방자치법, (한국어)
http://law.go.kr/lsSc.do?tabMenuId=tab18=%EC%A7%80%EB%B0%A9%EC%9E%90%EC%B9%98%EB%B2%95#undefined
(English)
http://law.go.kr/engLsSc.do?tabMenuId=tab45=%EC%A7%80%EB%B0%A9%EC%9E%90%EC%B9%98%EB%B2%95#
[2]
http://www.korea.net/Government/Constitution-and-Government/Local-Governments
[3] http://www.ngii.go.kr/en/download/Toponymic_Guidelines_ROK.pdf



2018년 12월 29일 (토) 오전 12:08, 고급협동조합 님이 작성:

> 답장 감사드립니다.
>
> 읽어보고 나니 지역별 구분 없이 기준을 하나만 잡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마침 GPIOIPG 님도 

Re: [Talk-ko] Result of survey about Korean name of railway station.

2018-12-04 Per discussione Jaeu Jeong
Not yet. I didn't make a conclusion what we set the name of railway station
in South Korea.

I tried to change renderer to show the suffix "역(station)" in south korea
region, but It need to haaard efforts. And there are many renderers exist
based on OSM data. So I give up this.

Next to do is putting the suffix "역" to the name of railway station. but, I
can't find proper reason about this name change. Fallow result of the
survey, A main reason of name change is "It's familiar to Korean". But,
Name is the name only and if official name exist, name is official name. (
https://wiki.openstreetmap.org/wiki/Names#Notes) You know that official
railway station name in South Korea has no suffix "역". However, If we can
change name because of language convention, Maybe we can put the suffix "역"
to name of railway station in South Korea.

Is any example about changing official name to unofficial name because of
language, culture, or national convention?

2018년 12월 4일 (화) 오전 3:56, Martijn van Exel 님이 작성:

> Done! Perhaps you want to announce on the main talk list or write a quick
> diary entry?
>
> Martijn
>
> > On Dec 1, 2018, at 11:34 AM, Max  wrote:
> >
> > Good idea! I think both challenges are relatively easy and fun.
> >
> > max
> >
> >
> > On 30.11.18 19:27, Martijn van Exel wrote:
> >> Perhaps this thread helps remind people :D
> >> I can ‘feature’ one of them for a while if you think that may help?
> >> Martijn
> >>> On Nov 30, 2018, at 11:24 AM, Max  wrote:
> >>>
> >>> On 30.11.18 17:23, Martijn van Exel wrote:
>  By the way, there are currently 2 Korea specific challenges on
> MapRoulette, are these still relevant?
>  Bridges: https://maproulette.org/mr3/browse/challenges/403
>  Junctions: https://maproulette.org/mr3/browse/challenges/1460
> >>>
> >>> Yes they are, but it is just so much work, they never seem to get any
> closer to be completed...
> >>>
> >>> ___
> >>> Talk-ko mailing list
> >>> Talk-ko@openstreetmap.org
>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___
> >> Talk-ko mailing list
> >> Talk-ko@openstreetmap.org
>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 >
> > ___
> > Talk-ko mailing list
> > Talk-ko@openstreetmap.org
>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 ___
> Talk-ko mailing list
> Talk-ko@openstreetmap.org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___
Talk-ko mailing list
Talk-ko@openstreetmap.org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Re: [Talk-ko] Result of survey about Korean name of railway station.

2018-12-01 Per discussione Jaeu Jeong
I want to rendered station name with tje suffix "역". In Mapnik. I will
question that to mapnik developers.

If it is hard to render with the suffix "역" by programming skills, i will
add "역" to the Korean railway name. Almost of train, railway, and subway
relations are finished in South Korea. So it's easy to huge change name of
station.

And actually i participated to korean bridge challange.
 2 months ago. but my priority is railway system in south korea. I tagged
all of normal way lines in south korea and devide railway lines operated by
seoul metro and korail tjis work ia almost finished. If this subject is
done, I wil participate maproutte challange. In my experience, it need 2 or
more months to finishing maproute challange.

So..

Fisrt, fallowng the servey, people want to regognize railway stathon with
the suffix "역" so If mapnix can render railway name with the suffix "역", we
have not to add "역" on the railway name. In this case, renderer add the
suffix "역", and data of station name isn't change.

Second, If Mapnik can't render station name without "역", we should to add
the suffix "역" on the railway name. In this case, name:ko is target to add
the suffix"역". And official_mame or nat_name or alt_name can be used
railway station name withoit the suffix "역"

What is good to change name? Changing name is very delicate problom.
Because railway station name is already once changed.

I investigated almost of sign in railway station. This is differ! Entrace
and exit sign of subway has no suffix "역"
 However, building sign of station show name with the suffix "역". Type of
signs are differ. And in railway station, It is hard to find "station" on
the sign in whole of station area.

So I think name should be official name, and alt name or name:ko has the
railway name which  has the suffix "역" .

Anyway my healthy is not good now. So I'm in ganglung city now for vacation
until tomorrow, I need more time to refresh my mind.

If you have some time, could you wait until next week to discuss how to
change names with several tools?

Best Regards,

Jeou Jeong (GPOIOPG)


2018년 12월 1일 (토) 01:23에 Martijn van Exel 님이 작성:

> Hi,
>
> Do you want to add this text in an automated way or manually?
>
> If you want to review and edit the names manually, I can set up a
> MapRoulette challenge for you so you can go through them one by one and
> edit them that way. The nice thing about that is you can see the progress
> easily.
>
> Let me know, I am happy to help.
>
> By the way, there are currently 2 Korea specific challenges on
> MapRoulette, are these still relevant?
> Bridges: https://maproulette.org/mr3/browse/challenges/403
> Junctions: https://maproulette.org/mr3/browse/challenges/1460
>
> Martijn
>
> On Nov 30, 2018, at 8:53 AM, Jaeu Jeong  wrote:
>
> Hi,
>
> I summarized result of the survey about  Korean name of railway station. I
> send this survey a month ago via talk-ko mailing list.
>
> (Subject of survey is What do you think of putting '-역' in the Korean name
> of railway stations?)
>
> Result of the survey is here; (Google spread sheet)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6o5ub9mjA2henfT0obZJ4HWukPS78QEHAjzDHn4pjkQ/edit?usp=sharing>
>
>
> I posted about result of the survey to OSM user diary (link
> <https://www.openstreetmap.org/user/GPIOIPG/diary/47065>) and question
> about Korean name of railway station to OSM forum (link
>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609>).
>
> Best regards,
>
> Jaeu Jeong (GPIOIPG)
>
>
>
> 안녕하세요,
>
> 지난 달에 talk-ko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보내드린 한국어 철도 역 이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하였습니다.
>
> (설문조사 주제 : 한국어 철도 역 이름에 '역'을 붙이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 다음은 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한 구글 스프레드 시트 링크입니다; (Google spread sheet)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6o5ub9mjA2henfT0obZJ4HWukPS78QEHAjzDHn4pjkQ/edit?usp=sharing>
>
>
> 오픈스트리트맵 사용자 일기에 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하여 올렸으며(링크
> <https://www.openstreetmap.org/user/GPIOIPG/diary/47065>), 한국어 철도역 이름을
> 어떻게 정하면 좋을지 OSM 포럼에 질문글을 올렸습니다. (링크
>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609>)
>
>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Jaeu Jeong (GPIOIPG)
> ___
> Talk-ko mailing list
> Talk-ko@openstreetmap.org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
> ___
> Talk-ko mailing list
> Talk-ko@openstreetmap.org
>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
___
Talk-ko mailing list
Talk-ko@openstreetmap.org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


[Talk-ko] Result of survey about Korean name of railway station.

2018-11-30 Per discussione Jaeu Jeong
Hi,

I summarized result of the survey about  Korean name of railway station. I
send this survey a month ago via talk-ko mailing list.

(Subject of survey is What do you think of putting '-역' in the Korean name
of railway stations?)

Result of the survey is here; (Google spread sheet)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6o5ub9mjA2henfT0obZJ4HWukPS78QEHAjzDHn4pjkQ/edit?usp=sharing>


I posted about result of the survey to OSM user diary (link
<https://www.openstreetmap.org/user/GPIOIPG/diary/47065>) and question
about Korean name of railway station to OSM forum (link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609>).

Best regards,

Jaeu Jeong (GPIOIPG)



안녕하세요,

지난 달에 talk-ko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보내드린 한국어 철도 역 이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하였습니다.

(설문조사 주제 : 한국어 철도 역 이름에 '역'을 붙이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다음은 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한 구글 스프레드 시트 링크입니다; (Google spread sheet)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6o5ub9mjA2henfT0obZJ4HWukPS78QEHAjzDHn4pjkQ/edit?usp=sharing>


오픈스트리트맵 사용자 일기에 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하여 올렸으며(링크
<https://www.openstreetmap.org/user/GPIOIPG/diary/47065>), 한국어 철도역 이름을 어떻게
정하면 좋을지 OSM 포럼에 질문글을 올렸습니다. (링크
<https://forum.openstreetmap.org/viewtopic.php?id=64609>)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Jaeu Jeong (GPIOIPG)
___
Talk-ko mailing list
Talk-ko@openstreetmap.org
https://lists.openstreetmap.org/listinfo/talk-ko